kimkongmom 2023. 6. 28. 21:05

 

 

리눅스 git 활용법 

git이란?

 Git이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도 궁금하실텐데요. 저는 이게 궁금해서 한참 검색을 했었습니다. 깃을 처음 만든 사람은 리누스 토발즈입니다. 리눅스 만든 분이죠. 이분은 버전관리 프로그램으로 유료 프로그램인 비트키퍼라는 걸 썼었는데 어떤 이유로 비트키퍼 개발사 측에서 리눅스쪽에서의 접근을 제한해 버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리누스 토발즈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이주하지 않고 직접 만든 것이 Git이라고 하죠. 깃은 뜻이 없다고도 하고 Got it이라고도 하고 말이 많지만 영국속어로 '고집쟁이'라는 뜻이 있다는데요. 이쪽이 가장 맞는 말 같습니다. 어쨌든 리누스토발즈가 2주만에 만들어 냈다는 버전관리 프로그램이 Git입니다.

즈git 로컬에서 작업하고 원격지로 올린다!

 

 

우선 오늘 배워본걸 다시 한번 실습하면서

git 소스 관리 툴 (형상관리)

1. dbstudy 폴더 만들어서 로컬 레파지토리로 등록하기

2. dbstudy 폴더 안에 새로만들기 > 텍스트파일만들기 2개의 파일 a.txt, e.txt 만들어줍니다

3. dbstudy 파일에서 오른쪽클릭하면 git bash here 이라는 버튼이있습니다 클릭!

먼저 git init을 해주면 (main)이라는 branch가 생깁니다!★★★(main 말고 master 라는것도 있습니다.)

그다음 먼저 점검을 해줍니다 git status를 치면 추적되지않는 파일이라고 뜹니다 요걸 이제 추적할 수 있게 해줄건데요

 

dbstudy 파일 안에있는 것을 추적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git add . 를씁니다 그럼 파일 전체를 추적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다음

 

git 사용자를 등록해줄건데요! 누군지를 밝히기 위해 개인 이메일과 개인 닉네임 저는 kimsegong을 써줬습니다.

 

다음은

1. github에 로그인을 해줄건데요 가입 및 personal access token 발급 받기를 진행합니다.

2. personal access token은 복사해서 스스로 잘 보관해야 함★★★(github 사이트에서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3. github에 원격레파지토리 dbstudy 만들기입니다. (만들 때 아무 것도 포함시키지 않아야 작업이 수월합니다)

4. dbstudy 로컬 레파지토리와 연결할 원격 레파지토리 등록

5. git remote add origin [각자 본인들 이메일] 어쩌구.git 으로 되어있습니다

6. 로컬레파지토리 -> 원격으로 올리기  git push origin 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