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기록 저장소 🐕/이론공부

이론) 네트워크

kimkongmom 2024. 1. 25. 15:53

 

 

 

 

 

① HTTP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하시오.

HTTP이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른다. 요청과 응답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HTTP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무상태)의 특징과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Connectionless(비연결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HTTP와 HTTPS의 차이점은?

HTTP는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HTTP로 중요한 정보를 주고 받으면 제 3자에 의해 조회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에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 HTTPS이다.

 

③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쿠키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PC에 저장했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션은 일정 시간동안 같은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속도 : 세션 < 쿠키

보안 : 세션 > 쿠키

 

 

④ TCP와 UDP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지만,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⑤ HTTP Method와 각각이 사용되는 경우 설명해주시오.

HTTP메서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사용자 요청의 목적을 알리는 수단이다.

종류 기능
GET 데이터 조회
POST 요청 데이터 처리
PUT 데이터 변경
PATCH 일부 데이터만 변경 
DELETE 데이터 삭제

 

 

 

⑥ GET과 POST의 차이

GET은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방식으로 헤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므로 보안적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포함하면 안된다.

 

POST는 데이터를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디에 추가하여 전송하고, 완전히 안전하지는 않지만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아 GET보다는 안전하다.

 

 

 

 

 

 

'코딩기록 저장소 🐕 > 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Java  (0) 2024.02.01
이론) 백엔드  (0) 2024.01.26
디자인 패턴  (0) 2024.01.19
운영 체제  (0) 2023.12.26
ARM프로세서  (0) 2023.12.21